만 나이로 인한 혼란 한 번쯤 겪어보셨나요? 2023.06.28일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된다고 합니다. 앞으로 계약서, 조례나 법령등에서 사용되는 나이는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만 나이로 본다고 합니다. 그러면 바뀌는 나이로 인한 생활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할게요.
1. 만 나이 계산
만 나이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*생일이 지나지 않았을 경우 계산법
(이번연도-출생연도-1 = 현재 나이)
*생일이 지났을 경우 계산법
(이번연도-출생연도 = 현재나이)
그래도 헷갈리시는 분들은 만 나이 계산기를 활용하셔서 계산하시면 됩니다.
2. 초등학교 취학 의무 연령
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기존과 동일하게 만 6세가 된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 3월 1일에 입학하게 됩니다.
3. 연금 수급시기, 정년
연금 수급시기, 정년도 달라지지 않습니다. '만 나이 통일법' 시행 이전에도 법령상 나이는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만 나이로 계산했습니다.
4. 만 나이로 인한 혼란을 일으키는 사례 모음
정부는 국제적 기준인 만 나이로 통일하여 앞으로 법령이나 계약서, 문서 등에 사용되는 나이가 만 나이인지, 한국식 나이, 연 나이(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빼는 방법)인지를 두고 일어났던 법적 다툼이나 민원이 없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
'각종 지원 정보 소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세사기, 깡통전세 예방을 위한 확인사항 10가지 (0) | 2023.05.17 |
---|---|
[청년내일저축계좌] 온라인 신청 (0) | 2023.05.06 |
[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 사업] 1차 모집 신청 기간, 신청방법 (0) | 2023.04.30 |
서울희망 대학 장학금(등록금 지원) 신청자격 신청방법 선발시기 (0) | 2023.04.17 |
[경기 청년 사다리 프로그램] 지원자격 신청방법 알아보기 (0) | 2023.04.14 |
댓글